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시는 휴일도 없이-이용임 시집 (걷는사람)
작성자: 뉴욕코리아
조회: 4007 등록일: 2020-04-24
시는 휴일도 없이-이용임 시집 (걷는사람)
추 ( 醜 ) 하고 병든 세계를 전복시키는 기묘한 시편들
200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주변의 익숙한 사물들을 그로테스크하게 이미지화하며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해 온 이용임 시인의 두 번째 시집『시는 휴일도 없이』(걷는사람)가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에 실린 시편들에는 “푸른 피”(「작약」)처럼 영묘한 푸른빛이 스며 있다. 수많은 시인들이 그러하듯이 마음과 몸이 앓고 있던 시간 속에서 그의 시는 태어났고, 이용임은 병든 세계를 응시하며 풍부하고 예민한 감각으로 결코 가볍지 않은 자신의 언어들을 길어올린다. 그리하여 독자들은 ‘휴일도 없이’(「서시」) 찾아오는 통증 같은 시를, 피를 먹여 키운 다족류 벌레 같은 시를 만나는 기이한 체험을 하게 된다.
추천사를 쓴 이경림 시인이 강조한 것처럼 “이 시집에는 상처투성이 자궁, 물속에 갇힌 아이들, 피 흘리는 심장 등 피학적이고 절망적인 약자(특히 여성)의 이미지가 많다. 물과 피와 심장, 이 세 이미지들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은 자궁이 아닌가? 그것은 여성성의 상징이며 존재 발현의 원형적 공간이기도 하다. 많은 문학 작품 속에서 그것은 우주의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시 속에 나타난 그곳은 지금 피투성이 상처투성이로 신음하고 있다.” 이용임 시 속의 ‘그곳’은 우리가 발 디딘 바로 이 세계에 다름 아니며, 이용임은 “존재와 비존재 사이 유령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려낸다.
정재훈 평론가가 언급하듯 “이용임의 시적 상상력은 세상으로부터 하찮게 여겨졌거나, 가혹하게 버려진 것들을 주워다가 무언가와 결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습성(의미)을 부여”하며 “연민과 공감에서 비롯한 시인의 연금술적인 상상력의 자장(磁場)은 한없이 낮게 가라앉아 웅크리고 있는 고독한 삶을 향해 다가간다.” 이용임의 푸른 말들은 낡고 누추한 노년의 몸이거나 아이와 같은 연약한 육신일수록 더 잘 흡착한다. 그렇게 낮고 낮은 몸들에 스민 말들은 “‘흐르지 않는 혈관에/갇혀 있는’(「작약」) 푸른빛을 발산하며 특유의 무늬를 새롭게 형성해 나간다. 그런데 이것은 이따금 기이한 반응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마치 ‘죽지 않는 벌레’(「친근한 사물들」)가 심장 속으로 파고들어 기생하는 것처럼, 평온했던 일상의 매순간마다 지속적으로 요동치는 낯선 감각이자, 기묘한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 ‘기묘함’이야말로 이용임 시인이 직조해낸 시의 고유한 아름다움이며, 추(醜)하고 병든 세계를 전복시킬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작품 속으로
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
뒤적여보니 다족류 벌레가 있더라
(…)
차마 죽일 수가 없어 유리그릇에 넣고
매일 피 한 방울을 먹이며 키웠다
피가 진득한 밤이면
유난히 입맛을 다시는 벌레가 귀여워서
한두 방울 더 주기도 했다
벌레는 자라고 나는 마르는
어느 부모 자식 같은 신파가 한 계절,
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
뒤적여보니 삭은 피가 우수수 쏟아지더라
(…)
벌레는 자라고
스멀거리는 감각만 오래 남아
기면증을 앓았다
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
—「당신이라는 의외」부분
사람들은 알까 몰라 살면서도 몇 번씩
죽음을 건너는 걸
경계 없이 몸을 잃는 자발성
사람들은 알까 몰라 이토록 본격적인
자살을
무관의 임사 체험을
잠시 죽으러 갑니다 인사도 없이 깜빡,
어머 나 잠시 졸았나 봐 잠시 죽었나 봐 잠시
다른 생을 기웃거리고 왔나 봐
—「오수」부분
빛나는 것들은
모두 땅속에 있지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애인은
죽은 애인이라고
춤추는 일들은
모두 지문이 없지
속이 빈 새들이 날아가는
창문은 소경과 귀머거리의 시간
순결한 걸음으로
가요 정오는
살인의 시간
자정은 사랑의 시간
독이 든 우유를 들고
계단을 올라요
(…)
정오는 은닉의 시간
자정은 발각의 시간
장갑을 끼고
총알을 닦고
찬장을 열고
독약을 타고
산책은 언제나
우발적 엇갈림
세상에서 가장 자유로운 걸음으로
가요
당신을 만나요
—「맨발」부분
슬픔도 차갑게 흔들어 마시면 좋을까
그늘 아래 누워 맨발을 흔들며
새벽에 내리는 비가 눈이 되어 쌓이듯
아침이면 혈관이 얼어 그대로 멈출까
눈을 가리고 우는 술래는 누굴까
누가 되겠니? 누가
그대로 멈춘 세계를
맨발로 뛰어갈래?
꽃을 열면 고이 접힌 고전적 슬픔을
어렵지 않게 발견하기도 하지
미지근한 향기는 비리기도 하잖아
옆에 앉은 너의 폐에서
상하기 직전의 계절이 흘러나와
그러니,
우리 그대로 멈추자
내가 네 눈을 가려 줄게
하나 둘 셋 노래를 불러 줄게
슬픔은 빙점이 없어 네 말을 가져갈 거야
눈동자 속에 고인 풍경을 지워 줄 거야
두근거리는 살을 멈춰 줄 거야
아무리 피를 마셔도
더 이상 뜨겁지 않을 거야
차가워지는 것 마음이 흘러나오는 것
고약한 선물상자를 베개 위에 올려놓는
나이 든 어미들을 바다 밖으로 보내는 것
손깍지를 끼고 나란히 앉자
피크닉 바구니엔 슬픔이 가득해
차갑게 더 차갑게 슬픔을 흔들자
저녁의 발톱이 나비로 날아와 누가
그대로 멈춘 세계에서
노래가 될래?
—「칠링」전문
서시 ( 序詩 )
아름답고 상냥한
누군가 이국어로 쓴 시를
현관 앞에 두고 간다
읽을 수 없는 시는 아름답다
어느 계절의 여행처럼
시는 휴일도 없이 온다
아무렇지도 않게 부드럽다
누군가 이국어로 쓴 시를
현관 앞에 두고 간다 매일,
매일 매일
문 너머 풍경은 여전히 일상인데
시는 읽을 수 없다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눈과 입을 꿰맨
향기로운 시체를 안고
천 년을 살았다는 어느 왕처럼
나는 아침마다 시를 받고
계단을 내려가
마른 꽃나무 사이로 걸어간다
시인의 말을 대신하여
2020년 3월
이용임
시인 소개
1976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200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엘리펀트맨」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 『안개주의보』, 산문집 『당신을 기억하는 슬픈 버릇이 있다』를 냈다.
추천사
이용임의 시집 속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곳에서 흘러나오는 나직나직한 노랫소리가 들린다. 신음 같기도 여린 비명 같기도 한 그 노래를 따라가면 깊이를 알 수 없는 물속 세계가 보인다. 그 속에 한 여자가 “피투성이 시계덩어리 심장 그게 나야”, “저녁 종소리를 마시고 잉태한…”(「시계의 집」)이라고 고백하고 있다.
저녁 종소리는 실체가 없는데 그걸 마시고 잉태된 사람이란 과연 어떤 사람일까? 있는 사람일까? 없는 사람일까? 존재와 비존재 사이 유령처럼 살아가는 사람? 그게 바로 여자라고 그는 말하고 있는 것일까? 그러고 보니 이 시집에는 상처투성이 자궁, 물속에 갇힌 아이들, 피 흘리는 심장 등 피학적이고 절망적인 약자(특히 여성)의 이미지가 많다. 물과 피와 심장, 이 세 이미지들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은 자궁이 아닌가? 그것은 여성성의 상징이며 존재 발현의 원형적 공간이기도 하다. 많은 문학 작품 속에서 그것은 우주의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시 속에 나타난 그곳은 지금 피투성이 상처투성이로 신음하고 있다. 곰곰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라 해도 좋을 그곳을 시인은 “흰 그림자에 몸을 먹힌 귀신이 너울을 쓰고 기슭에 앉아 분내 나는 시간을 건너가”(「봄」)듯 가야 한다고, 그래야 봄에 닿을 수 있다고 슬프고도 아름답게 노래하고 있다.
- 이경림 시인
[ 차례 ]
1 부 여자 혹은 자궁이 꾸는 꿈의 기록
언젠가, 어디선가, 누군가
시계의 집
물의 공방
스미듯 번지듯
서정적 심장
유리의 집
천국이라는 이정표
남이
비1
비2
언제든, 무덤
봄
휴식시간
사월
사천
눈
2 부 연금술 혹은 사랑이라는 악마의 해부도
피아노
포옹
맨발 당신이라는 의외
달콤쌉싸름한 심장
연리지
당신, 이라는 말
자운영
노래의 뼈
등의 감정
3 부 기억 그리고 나비의 푸른 혈관
척후
봄
친근한 사물들
고유명사
해파리
령
작약
오수
당신을 위한 기도
발가락의 여행
구름수집가
한없이 투명한
4 부 창 아래 별이 지나가는 새벽
소년, 소녀
십이월의 눈 무의미의 창
여름
산책
유월
그대여 고독한 골목에
그대는 모르죠
적란운
안녕, 부다페스트
안구건조증
아름다움은 조용히
칠링
풍경수집가
우리는
다시,
해설
푸른 피를 알았다/앓았다 —정재훈(문학평론가)
[ⓒ 뉴욕코리아( 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br></p><font color="#000000" face="Verdana" size="3"><p><font size="3">
<br></font></p><p><font face="맑은 고딕" size="6"><strong>시는 휴일도 없이-이용임 시집 <font size="5">(걷는사람)</font></strong></font></p><p><strong><font face="맑은 고딕" size="6"><br></font></strong></p><p><font face="맑은 고딕" size="3"><br></font></p><font face="맑은 고딕" size="3"><p><table width="675" align="left" class="left" id="community_image"><tbody><tr><td><img _width="675" align="absmiddle" src="/rankup_module/rankup_board/attach/recobook/15877436018621.jpg" style="width:675px;"></td></tr></tbody></table></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font size="3"><br></font></p><p><br></p></font><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추</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醜</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하고 병든 세계를 전복시키는 기묘한 시편들</span></font></font></p><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200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이후 주변의 익숙한 사물들을 그로테스크하게 이미지화하며 독자적인 시세계를 구축해 온 이용임 시인의 두 번째 시집『시는 휴일도 없이』(걷는사람)가 출간되었다. </font></p><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이번 시집에 실린 시편들에는 “푸른 피”(「작약」)처럼 영묘한 푸른빛이 스며 있다. 수많은 시인들이 그러하듯이 마음과 몸이 앓고 있던 시간 속에서 그의 시는 태어났고, 이용임은 병든 세계를 응시하며 풍부하고 예민한 감각으로 결코 가볍지 않은 자신의 언어들을 길어올린다. 그리하여 독자들은 ‘휴일도 없이’(「서시」) 찾아오는 통증 같은 시를, 피를 먹여 키운 다족류 벌레 같은 시를 만나는 기이한 체험을 하게 된다. </font></p><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추천사를 쓴 이경림 시인이 강조한 것처럼 “이 시집에는 상처투성이 자궁, 물속에 갇힌 아이들, 피 흘리는 심장 등 피학적이고 절망적인 약자(특히 여성)의 이미지가 많다. 물과 피와 심장, 이 세 이미지들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은 자궁이 아닌가? 그것은 여성성의 상징이며 존재 발현의 원형적 공간이기도 하다. 많은 문학 작품 속에서 그것은 우주의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시 속에 나타난 그곳은 지금 피투성이 상처투성이로 신음하고 있다.” 이용임 시 속의 ‘그곳’은 우리가 발 디딘 바로 이 세계에 다름 아니며, 이용임은 “존재와 비존재 사이 유령처럼” 살아가는 사람들을 그려낸다.</font></p><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정재훈 평론가가 언급하듯 “이용임의 시적 상상력은 세상으로부터 하찮게 여겨졌거나, 가혹하게 버려진 것들을 주워다가 무언가와 결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습성(의미)을 부여”하며 “연민과 공감에서 비롯한 시인의 연금술적인 상상력의 자장(磁場)은 한없이 낮게 가라앉아 웅크리고 있는 고독한 삶을 향해 다가간다.” 이용임의 푸른 말들은 낡고 누추한 노년의 몸이거나 아이와 같은 연약한 육신일수록 더 잘 흡착한다. 그렇게 낮고 낮은 몸들에 스민 말들은 “‘흐르지 않는 혈관에/갇혀 있는’(「작약」) 푸른빛을 발산하며 특유의 무늬를 새롭게 형성해 나간다. 그런데 이것은 이따금 기이한 반응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마치 ‘죽지 않는 벌레’(「친근한 사물들」)가 심장 속으로 파고들어 기생하는 것처럼, 평온했던 일상의 매순간마다 지속적으로 요동치는 낯선 감각이자, 기묘한 증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font></p><p style="line-height: 1.7; 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이 ‘기묘함’이야말로 이용임 시인이 직조해낸 시의 고유한 아름다움이며, 추(醜)하고 병든 세계를 전복시킬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작품 속으로</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뒤적여보니 다족류 벌레가 있더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차마 죽일 수가 없어 유리그릇에 넣고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매일 피 한 방울을 먹이며 키웠다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피가 진득한 밤이면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유난히 입맛을 다시는 벌레가 귀여워서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한두 방울 더 주기도 했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벌레는 자라고 나는 마르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어느 부모 자식 같은 신파가 한 계절,</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뒤적여보니 삭은 피가 우수수 쏟아지더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벌레는 자라고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스멀거리는 감각만 오래 남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기면증을 앓았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다 깨니 심장이 간지러워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당신이라는 의외」부분</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사람들은 알까 몰라 살면서도 몇 번씩</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죽음을 건너는 걸</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경계 없이 몸을 잃는 자발성</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사람들은 알까 몰라 이토록 본격적인</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살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무관의 임사 체험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잠시 죽으러 갑니다 인사도 없이 깜빡,</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어머 나 잠시 졸았나 봐 잠시 죽었나 봐 잠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다른 생을 기웃거리고 왔나 봐</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오수」부분</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빛나는 것들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모두 땅속에 있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애인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죽은 애인이라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춤추는 일들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모두 지문이 없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속이 빈 새들이 날아가는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창문은 소경과 귀머거리의 시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순결한 걸음으로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가요 정오는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살인의 시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정은 사랑의 시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독이 든 우유를 들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계단을 올라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정오는 은닉의 시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정은 발각의 시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장갑을 끼고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총알을 닦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찬장을 열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독약을 타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산책은 언제나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우발적 엇갈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세상에서 가장 자유로운 걸음으로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가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당신을 만나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맨발」부분</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슬픔도 차갑게 흔들어 마시면 좋을까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늘 아래 누워 맨발을 흔들며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새벽에 내리는 비가 눈이 되어 쌓이듯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아침이면 혈관이 얼어 그대로 멈출까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눈을 가리고 우는 술래는 누굴까</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누가 되겠니? 누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대로 멈춘 세계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맨발로 뛰어갈래?</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꽃을 열면 고이 접힌 고전적 슬픔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어렵지 않게 발견하기도 하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미지근한 향기는 비리기도 하잖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옆에 앉은 너의 폐에서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상하기 직전의 계절이 흘러나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러니,</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우리 그대로 멈추자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내가 네 눈을 가려 줄게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하나 둘 셋 노래를 불러 줄게</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슬픔은 빙점이 없어 네 말을 가져갈 거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눈동자 속에 고인 풍경을 지워 줄 거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두근거리는 살을 멈춰 줄 거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아무리 피를 마셔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더 이상 뜨겁지 않을 거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차가워지는 것 마음이 흘러나오는 것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고약한 선물상자를 베개 위에 올려놓는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나이 든 어미들을 바다 밖으로 보내는 것</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손깍지를 끼고 나란히 앉자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피크닉 바구니엔 슬픔이 가득해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차갑게 더 차갑게 슬픔을 흔들자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저녁의 발톱이 나비로 날아와 누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대로 멈춘 세계에서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노래가 될래?</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div><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칠링」전문</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right: 20pt; margin-left: 2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서시</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序詩</span><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아름답고 상냥한</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누군가 이국어로 쓴 시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현관 앞에 두고 간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읽을 수 없는 시는 아름답다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어느 계절의 여행처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시는 휴일도 없이 온다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아무렇지도 않게 부드럽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누군가 이국어로 쓴 시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현관 앞에 두고 간다 매일,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매일 매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문 너머 풍경은 여전히 일상인데</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시는 읽을 수 없다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눈과 입을 꿰맨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향기로운 시체를 안고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천 년을 살았다는 어느 왕처럼</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나는 아침마다 시를 받고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계단을 내려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마른 꽃나무 사이로 걸어간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시인의 말을 대신하여 </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2020년 3월 </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이용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시인 소개</font></span></p><p style="text-indent: 1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1976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2007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엘리펀트맨」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시집 『안개주의보』, 산문집 『당신을 기억하는 슬픈 버릇이 있다』를 냈다.</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span style="color: rgb(128, 0, 128); 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추천사</font></span></p></div><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text-indent: 1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이용임의 시집 속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곳에서 흘러나오는 나직나직한 노랫소리가 들린다. 신음 같기도 여린 비명 같기도 한 그 노래를 따라가면 깊이를 알 수 없는 물속 세계가 보인다. 그 속에 한 여자가 “피투성이 시계덩어리 심장 그게 나야”, “저녁 종소리를 마시고 잉태한…”(「시계의 집」)이라고 고백하고 있다. </font></p><p style="text-indent: 0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저녁 종소리는 실체가 없는데 그걸 마시고 잉태된 사람이란 과연 어떤 사람일까? 있는 사람일까? 없는 사람일까? 존재와 비존재 사이 유령처럼 살아가는 사람? 그게 바로 여자라고 그는 말하고 있는 것일까? 그러고 보니 이 시집에는 상처투성이 자궁, 물속에 갇힌 아이들, 피 흘리는 심장 등 피학적이고 절망적인 약자(특히 여성)의 이미지가 많다. 물과 피와 심장, 이 세 이미지들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은 자궁이 아닌가? 그것은 여성성의 상징이며 존재 발현의 원형적 공간이기도 하다. 많은 문학 작품 속에서 그것은 우주의 상징적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시 속에 나타난 그곳은 지금 피투성이 상처투성이로 신음하고 있다. 곰곰 생각해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라 해도 좋을 그곳을 시인은 “흰 그림자에 몸을 먹힌 귀신이 너울을 쓰고 기슭에 앉아 분내 나는 시간을 건너가”(「봄」)듯 가야 한다고, 그래야 봄에 닿을 수 있다고 슬프고도 아름답게 노래하고 있다. </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이경림 시인</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align: right; 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1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font-weight: bold;">[</span><span style="font-weight: bold;">차례</span><span style="font-weight: bold;">]</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font-weight: bold;">1</span><span style="font-weight: bold;">부 여자 혹은 자궁이 꾸는 꿈의 기록</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언젠가, 어디선가, 누군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시계의 집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물의 공방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스미듯 번지듯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서정적 심장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유리의 집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천국이라는 이정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남이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비1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비2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언제든, 무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휴식시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사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사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눈</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font-weight: bold;">2</span><span style="font-weight: bold;">부 연금술 혹은 사랑이라는 악마의 해부도</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피아노</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포옹</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맨발 당신이라는 의외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달콤쌉싸름한 심장</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연리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당신, 이라는 말</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자운영 </font></p></div><div class="pagebreaker"><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div><div class="inner page1" id="div_page"><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노래의 뼈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등의 감정</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font-weight: bold;">3</span><span style="font-weight: bold;">부 기억 그리고 나비의 푸른 혈관</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척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친근한 사물들</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고유명사</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해파리</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령</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작약</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오수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당신을 위한 기도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발가락의 여행</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구름수집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한없이 투명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size="3"><font face="맑은 고딕"><span style="font-weight: bold;">4</span><span style="font-weight: bold;">부 창 아래 별이 지나가는 새벽</span></font></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소년, 소녀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십이월의 눈 무의미의 창</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여름</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산책</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유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대여 고독한 골목에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그대는 모르죠</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적란운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안녕, 부다페스트</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안구건조증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아름다움은 조용히</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칠링</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풍경수집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우리는</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다시,</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span style="font-weight: bold;"><font face="맑은 고딕" size="3">해설 </font></span></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size="3">푸른 피를 알았다/앓았다 —정재훈(문학평론가)</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font face="맑은 고딕"> </font></p><p style="text-indent: 0pt; margin-left: 15pt;"><span style="font-family: 나눔명조,굴림;"><font face="맑은 고딕"> </font></span></p><br></div><p><br></p><p><br></p>
<p> </p>
<p></p>
<p></p>
<p></p>
<p></p>
<p></p>
<p></p>
<p></p>
<p></p>
<p><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size="3"><span style="color: rgb(0, 0, 0); font-family: verdana;"><font color="#000000" size="3">[ⓒ 뉴욕코리아(</font><a style="color: rgb(53, 53, 53); text-decoration: none;" href="http://www.newyorkkorea.net/" target="_blank"><font color="#000000" size="3">www.newyorkkorea.net</font></a><font color="#000000"><font size="3"><font color="#000000">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font></font></font></span></font></span></p></font>
회원정보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점
게시물 작성수 : 0 개
댓글 작성수 : 개
쪽지보내기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