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인기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가슴에서 핏빛 꽃이 - 강대선 시집
작성자: 뉴욕코리아 조회: 2257 등록일: 2022-01-29



가슴에서 핏빛 꽃이 - 강대선 시집



5.18 추모 기획특집





















































































































추천글



그해 5월은 희생된 혼령의 입장에서 보면 이승이라는 세계에서 저승이라는 세계, 즉 지상의 현실과 천국을 가르는 시간이라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강 시인은 ‘0월’이라는 시간과 공간 속에서 망월에 떠도는 혼불들을 노래로써 진혼하고 있는 것이다. 

_ 백수인(시인) 

     


저자 약력


강대선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광주일보 시, 『시와 사람등단. 시집 가슴에서 핏빛 꽃이』 외 5권, 가사수필집 평화, 장편소설 우주일화퍼즐. 직지소설문학상 대상, 여수해양문학상 소설부문 대상, 한국해양문학상, 한국가사문학상, 김우종 문학상, 송순문학상 등 수상. 

89kds@hanmail.net



  〔자서〕


  0월, 기억의 빈자리


  80년, 나는 초등학생이었다. 어머니가 동네 아주머니와 주먹밥을 지어, 트럭에 탄 아저씨와 형들에게 주는 모습을 보았다. 물을 마시고 나를 보고 웃었던 것 같은데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 오래되었으나 지워지지 않은 기억의 파편이다. 0월, 우리는 창문을 이불로 가렸다. 소리가 나갈까, 여린 숨소리도 아꼈다. 소문으로 거리가 뒤숭숭해지자 우리 가족은 나주로 피난을 갔다. 엑소더스, 불안한 탈출이었다. 나는 총에 맞아 벌집이 된 자동차를 보았다. 선명한 총알 자국이 기억에 남았다. 다시 광주로 돌아왔을 때 나는 다락방에서 혼자 놀았다. 밖은 두려운 공간이었다. 고등학생이 된 나는 농성동 성당에서 광주 5·18 비디오를 보고 울었다. 

  나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서 상어 떼에게 청새치를 빼앗긴 노인이 외친 말을 기억한다. ‘인간을 파멸시킬 수는 있어도 패배하지 않는다.’ 광주는 패배하지 않았다. 불의한 신군부에 물러서지 않았던 광주의 정신은 올곧은 정신으로 우뚝 서 있다. 광주는 깃발이다. 

  이 시집을 통해 나는 패배하지 않은 정신을 말하고 싶었다. 5·18기념재단에서 간행한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에 나온 희생자 증언을 시를 엮었다. 최대한 사실에 집중하려고 했으나 미숙하고 미욱한 부분은 널리 양해를 구할 수밖에 없다.이 시집의 내용은 2014년에 열린 ‘그해, 오월전’의 내용을 참고하였으며 담당자와 연락을 통해 에서 간행한 『그해 오월 나는 살고 싶었다』(1, 2권, 한얼미디어, 2005) 책에 나온 당시 희생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분들의 활동과 증언집이 없었다면 이 책이 나올 수 없었을 것이다. 

  5·18 희생자분께 다시 한번 고개 숙인다. 0에 총소리, 구멍 난 가슴, 울음, 공동체, 망월, 광주, 역사, 진실, 희망을 담고 싶었다. 손에 손을 잡고 하나가 되어 도는 강강술래이기도 하고 환한 보름달이기도 하고 혼을 그리는 풍등이기도 하다. 0월은 비참의 밑바닥과 분노와 애탐과 슬픔을 넘어 희망과 통일과 평화가 어우러지는 공간이자 패배하지 않는 인간의 정신이다. 이 시를 0월의 영전에 바친다.



시집 속의 시 한 편


80년 0월



바람이 불어오면 노를 저어가자 

바람의 노를 저어 서러운 혼들에게 바삐 가자 

이름조차 없이 사라진 혼들이 또 얼마인가 

바람에 혼을 싣고 망월동으로 넘어가자

죽음을 먹고 권력을 쥔 그날의 총성은 

0월의 하늘을 흔들고 있건만 

죽음은 죽음으로 흘러가고 

이 땅에는 다시 오월의 꽃이 피어난다

기억은 흉터로 남아 어느덧 사십 년을 뒤로한다

책임자는 입을 다물고 

남겨진 파편과 증언들만 

가슴에 박혀 그날을 기억한다, 저 망월동 

어느 깊은 곳에서  

살아남은 우리를 부르고 있다

불의가 세상을 덮으면 또다시 깃발을 들고 나아가리

한 걸음 한 걸음 

새로운 희망을 노래하며 

그날에 스러져간 죽음들을 떠올리리

망월동은 말한다 

끝난 것은 없다

광주의 0월은 죽음을 자리에서 새로이 부활한다

이 땅의 주인이 누구인지

어떻게 죽고 살아야 하는지

손을 들어 정의와 진실을 부른다

0월의 십자가 위로 핏빛 혼들이 깃발로 펄럭인다



차례


1부

  

0월의 증언 _ 018

혼불 1 – 김경철 님 _ 021

혼불 2 – 김안부 님 _ 022

혼불 3 – 김경환 님 _ 023

혼불 4 – 김인태 님 _ 024

혼불 5 – 김재형 님 _ 025

혼불 6 – 김정선 님 _ 026

혼불 7 – 박기현 님 _ 027

혼불 8 – 김중식 님 _ 028 

혼불 9 – 강복원 님 _ 029

혼불 10 – 김용표 님 _ 030

혼불 11 – 김 정 님 _ 031

혼불 12 – 전재수 님 _ 032

혼불 13 – 나홍수 님 _ 033

혼불 14 – 박금희 님 _ 034

혼불 15 – 박민환 님 _ 035

혼불 16 – 심동선 님 _ 036

혼불 17 – 안두환 님 _ 037

혼불 18 – 안병태 님 _ 038

혼불 19 – 윤성호 님 _ 039

혼불 20 – 이종연 님 _ 040

혼불 21 – 전영진 님 _ 041

혼불 22 – 조남신 님 _ 042

혼불 23 – 조대훈 님 _ 043

혼불 24 – 조사천 님 _ 044

혼불 25 – 진정태 님 _ 045

혼불 26 – 최미애 님 _ 046

혼불 27 – 홍성규 님 _ 048

혼불 28 – 홍인표 님 _ 049 

혼불 29 – 황호정 님 _ 050

혼불 30 – 김영두 님 _ 052

혼불 31 – 김영선 님 _ 053

혼불 32 – 김오순 님 _ 054

혼불 33 – 김재평 님 _ 055

혼불 34 – 김호중 님 _ 056

혼불 35 – 노경운 님 _ 057

혼불 36 – 민병렬 님 _ 058

혼불 37 – 박재영 님 _ 059

혼불 38 – 서만오 님 _ 060

혼불 39 – 왕태경 님 _ 061

혼불 40 – 이매실 님 _ 062

혼불 41 – 임정식 님 _ 063

혼불 42 – 정민구 님 _ 064

혼불 43 – 조규영 님 _ 065

혼불 44 – 최승희 님 _ 066

혼불 45 – 황성술 님 _ 067

혼불 46 – 김윤수 님 _ 068

혼불 47 – 고영자 님 _ 069

혼불 48 – 김춘례 님 _ 070

혼불 49 – 박현숙 님 _ 071

혼불 50 – 백대환 님 _ 072

혼불 51 – 장재철 님 _ 073

혼불 52 – 장하일 님 _ 074

혼불 53 – 윤상원 님 _ 075

혼불 54 – 황호걸 님 _ 076

혼불 55 – 김승후 님 _ 077

혼불 56 – 방광범 님 _ 078

혼불 57 – 민청진 님 _ 079

혼불 58 – 김명숙 님 _ 080

혼불 59 – 김종연 님 _ 081

혼불 60 – 문재학 님 _ 082

혼불 61 – 박용준 님 _ 083

혼불 62 – 서호빈 님 _ 084

혼불 63 – 양동선 님 _ 085

혼불 64 – 오세현 님 _ 086

혼불 65 – 류동운 님 _ 087

혼불 66 – 이정연 님 _ 088

80년 0월 _ 089


2부 


총소리 _ 094

꽃아, 꽃아, 눈물 꽃아 _ 096

바람에 시린 혼을 실어 _ 102

꽃잎으로 상처를 싸매고 _ 108

비참의 밑바닥에서도 꽃은 피고 _ 114

가슴에서 핏빛 꽃이 피어나다 _ 119

무언으로 드리운 망월 _ 124

구멍 난 기억을 메우고 _ 129

젖은 별빛 한 줌 손에 쥐고 _ 134 

0월, 붉디붉은 꽃아 _ 139



해설 _ 역사 공간 떠도는 혼불들에 대한 진혼곡 _ 백수인(시인) _ 142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쇄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회원정보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뉴욕코리아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가슴에서 핏빛 꽃이 - 강대선 시...
글 작성자 뉴욕코리아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