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 - 김은상 시집
작성자: 추천신간도서 조회: 1563 등록일: 2024-11-27

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 - 김은상 시집


(상상인 시선 054)























































































































































.


책 소개



오해사랑이라는 말의 무게가 묵직하게 다가왔다. 물론 이것은 시인이 그동안 환원해 온 침묵에서 비롯된 개인의 언어일 것이다. 가장 내밀한 영역에서 비롯된 이 말들은 쉽게 짐작하기 어려운 무한한 시간을 내포한다.

그럼에도 시들을 읽어보면 그때의 무수한 엇갈림이 얼핏 스치는 것 같아서 마음 한 곳이 저리기도 했었다. 예전에 들었던 그때 그 말이 알고 보니 전혀 다른 뜻을 품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느낄 법한 쓰라림 같은 것이었다. 감정의 여백은 오해를 환하게 꽃 피우지만, 어느 순간 무심하게 다시 져버린다. 그것을 바라보는 누군가는 그 여백을 통해 비로소 사랑의 무게를 느낀다.

김은상 시인의 시에서 느껴지는 의미가 남다른 것은 마치 아라베스크”(서시)라는 기이한 무늬를 보는 것처럼 시들이 품고 있는 의미의 층위가 상당히 놀랍도록 두텁다. 어떠한 각도로 보더라도 특유의 색과 무늬를 엿볼 수가 있게 되는데 어떤 때는 시에서 가장 희미하게 손금을 밝히는 색을 발견하기도 하고, 문득 바람에 올라탄 왼손의 온기가 느껴지기도 한다.

시인의 손끝으로 시작된 언어와 의미의 불가피한 동행에서 끝은 과연 있는 것일까. 차갑게 펼쳐진 페이지 너머의 끝은 과연 무엇이 자리 잡고 있을까. 시인에게 죽음은 그저 생물학적인 죽음이 아니라, 생 너머의 또 다른 생을 꿈꾸는 존재적 사건이다. 그리고 죽음은 다름 아닌 시적인 상상으로만 열리는 무한한 영역이다.

문학은 침묵의 언어를 가진다고 한다면 적어도 죽음, 사랑, 문학에는 끝이란 없다는 뜻일 테다. “생의 절박함”(돌 속의 바다)이 진정 오해에서 자라난 것이었다면 생은 여전히 끝나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오해의 완전한 종결이야말로 불빛의 소멸이고, 의미의 소거이며 진정한 죽음이기에. _해설(정재훈 문학평론가) 중에서

 

 

 

시인의 말



친애하는

나의

아버지에게,

 

 


시집 속의 시 두 편



꽃 진 자리

 

 

꽃이 마음인 줄 알았는데

꽃 진 자리,

 

그 아득함이 마음이었다

 

외롭다는 말을 들었다

그때는 그 말이

 

저기 저곳에서

꽃이 지고 있다는 뜻인 줄 알지 못했다

 

내 안의 내가 흘러넘쳐

어쩔 줄 몰라하던

 

이명,

 

겨울이 오고서야 알았다

 

외로운 사람과

그리운 사람의 입술이

서로의 손에 호, ,

 

입김을 채워줄 수 있는 다정이

성에꽃 찬란함이라는 것을

 

꽃의 내륙에

바람의 내륙을 담고서야 알았다

 

외롭다는 말과

그립다는 말의 때늦음이

겨우

 

계절이라는 것을

사랑 그 후,

 

서성이며 일렁이며 불어오는

매미의 빈 날개를

 

촛불 속에 적시며 알게 되었다

마음, 마음,

온 생을 다해

울어대는

 

꽃 진 자리,

 

그 아름다운 여울을

 

  

목련의 방

 

 

그녀의 눈망울에 달이 차오르고 있었다.

 

저녁이 환해질수록

점점 작아지던 그녀의 방.

 

목련이 피어나고 있었다.

 

백태 안쪽 가만히 귀를 대보면

눈물이 달그락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옆집보다 야트막하게

대문 쪽으로 머리를 수그리고

 

코흘리개 아이들을 품고 있었다.

 

수레를 끄는 그녀의 등이 낡은

지붕으로 휘어져 가는 사이

 

아이들은 얼굴보다 큰 뻥튀기를 깨물며

흙벽 모서리에 난 구멍을 긁었다.

 

술에 취해 밤의 목덜미에 칼끝을 대고

새벽을 엎지르는 아비를 긁는 것인지.

 

그런 악천후를 피해 돌아오지 않는

이역의 어미를 긁는 것인지.

 

철없이 벽은 긁을수록 환해져,

 

커져 가는 햇빛과 엉켜

킥킥대며 방바닥을 뒹굴었다.

 

봄을 향한 나무의 비명이 꽃이라면

고통은 적멸에 가닿는 생의 환호일까.

 

수북이 쌓인 폐지 속에 숨었다가

세상보다 아득한 온기에 몸을 말고

스르르……,

 

눈을 감아버린

어린 고양이들의 잠.

 

곪은 달은 아물었다

덧나기를 반복하며

목련나무 가지 위에서 부풀었다.

 

혹 월식이 그리워지는 그믐이면

그녀는 명치끝에 고인 울음을

마른 밥그릇 떨어뜨려 설거지했다.

 

닦을수록 그늘이 깊어지는 꽃의 이명,

화들짝 달무리가 붉게 물들고 있었다.

 

아무도 깨지 않은 목련의 밀실이 있었다.

 

 

 

차례


 

1부 꽃잎 속에 잠든 무당벌레는

또 어느 꿈속을 날아가야 하는가

 

꽃 진 자리 19

서시 22

어떤 형제들 24

하이델베르크의 윤리학 31

소년이 흰 개에게 보여주는 출사표 34

편식 36

비미학 39

즐거운 나의 집 41

저수지 43

무당벌레의 잠 45

지옥에서 버려진 개 47

 

  

2부 어느 숲속의 나무 아래

거위의 눈처럼 잠들어

 

명치 53

서정시집 54

하늘로 흘러가는 하지정맥류 56

폐가 58

반가의 사유 60

천칭 62

새의 국경 64

개종 66

거위의 간 68

고무 외투 71

하이델베르크의 고독 72

 

  

3부 눈을 감고 떠난 짐승은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경성지련傾城之戀 77

메나드Ménade 78

히키코모리아 80

딸기바닐라 하우스 82

오르골의 노래 84

괄호증후군 87

아니 무는 세계 91

봄의 환상통 94

나비의 잠 96

선캄브리아 98

길고양이 미미 100

 

  

4부 나의 시가

노래가 될 수 있다면

 

비정성시悲情城市 105

목련의 방 117

이방인 120

내연 122

한여름 밤의 서정곡 124

수전증 128

돌 속의 바다 130

지구는 누가 밟고 간 얼룩일까 134

변선구 136

첫사랑 138

지구를 굴리는 자전거 140

 

 

해설 _ 차갑게 쓰인 페이지 너머의 온기 143

정재훈(문학평론가)

 

 

 

저자 약력



김은상


2009년 실천문학』 등단시집 유다복음(한국문연, 2017)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상상인, 2024). 소설 빨강 모자를 쓴 아이들(멘토프레스, 2019), 『나의 아름다운 고양이 델마(멘토프레스, 2019)가 있음.

 

75eun@hanmail.net






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

김은상 시집

상상인 시선 054 | 초판발행 20241126| 정가 12,000| 128*205 | 158

ISBN 979-11-93093-76-4(03810)

도서출판 상상인 | 등록번호 제572-96-00959 | 등록일자 2019625

(06621)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7429, 904

Tel. 02 747 1367, 010 7371 1871 |Fax. 02 747 1877 | E-mail. ssaangin@hanmail.net









[ⓒ 뉴욕코리아(www.newyorkkorea.net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This content has copyright permission from the content owner's book publishing company. 

인쇄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56
[시조집] 루트 안의 이층집 - 진혜정 시조집...
신간도서 404 2025-04-02
55
[시집] 매일 밥 짓는 하느님 - 김태영 시집...
신간도서 1047 2025-03-23
54
[시집] 이렇게 작아 보이는 지구 안에 그렇게 먼 길이 있었다니-정혜선 시집...
신간도서 1174 2025-03-10
53
[계간] 2025년 계간 포엠포엠. 봄(vol-105)호 발행...
신간도서 1031 2025-03-10
52
[계간] 계간 상상인 2025년 봄호(통권 11호)...
신간도서 1341 2025-02-28
51
[계간] 계간 시작 2025 봄호 (통권 91호)...
신간도서 1137 2025-02-28
50
[시집] 괜찮아! 날개가 있으니까 - 이유정 시집...
신간도서 1630 2025-01-13
49
[시조집] 사과나무 독해법 - 권정희 시조집...
신간도서 1607 2025-01-13
48
[시집] 달에서 모일까요 - 정영주 시집...
신간도서 1695 2025-01-02
47
[시집] 핑크, 펑크 - 신재화 시집...
신간도서 1745 2025-01-02
46
[시집] 당신이란 페이지를 넘기는 중입니다 - 박정현 시집...
추천신간도서 1800 2024-12-16
45
[계간] 2024 계간 상상인 겨울호 Vol.10 (통권 10호)...
추천신간도서 1830 2024-12-16
44
[아동 그림책] 걷는 나무 - 박달달 그림책...
추천신간도서 1760 2024-12-15
43
[시집] 새를 키우고 싶은 개가 있을 겁니다 - 김 륭 시집 ( 제5회 선경문학상 수상집)...
추천신간도서 1773 2024-11-29
42
[시집] 맨드라미 붉은 마당을 맨발로 - 한혜영 시집 (제2회 선경작가상 수상집)...
추천신간도서 1668 2024-11-29
[시집] 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 - 김은상 시집...
추천신간도서 1564 2024-11-27
40
[산문집] 나는 진실합니까 - 권미강 산문집...
신간도서 1650 2024-11-11
39
[시집] 하루치의 지구 - 이정희 시집...
신간도서 1705 2024-11-10
38
[시집] 엄마 난 잘 울어 그래서 잘 웃어 - 정선희 시집...
추천신간도서 1891 2024-11-01
37
[시집] 이유는 묻지 않기로 했다 - 손숙영 시집...
신간도서 1418 2024-11-01
36
[시집] 러브체인의 날개들 - 김비주 시집...
신간도서 1735 2024-10-22
35
[시집] 거푸집의 국적 - 황정산 시집...
신간도서 1757 2024-10-16
34
[시집] 결 - 박희연...
신간도서 1709 2024-10-14
33
[평론] 고백의 파동 - 이혜원 비평집...
신간도서 1536 2024-10-14
32
[시집] 자리가 비었다 - 권혁재 시집...
신간도서 1748 2024-10-07
31
[시집] 달려도 녹지 않는 설국 - 최수지 시집...
신간도서 1796 2024-09-30
30
[시집] 아직도 시계탑 아래 서 있습니다 - 황원교 시집...
신간도서 1953 2024-09-27
29
[시집] 아모르 파티 - 이정원 시집...
신간도서 1945 2024-09-12
28
[시집] 숲으로 가는 나무의자 - 김향숙 시집...
신간도서 1993 2024-09-12
27
[수필집] 툰드라백조 깃털을 아세요? - 박 잎 수필집...
신간도서 1903 2024-09-11
26
[시집] 서천 가는 길 - 박광배 시집...
신간도서 1883 2024-09-03
25
[시집] 술의 둠스데이 - 문정영 시집 (달을 쏘다)...
신간도서 1741 2024-09-03
24
[시집] 이 봄을 달래달래 - 하미정 시조집...
신간도서 1984 2024-08-28
23
[시집] 오늘 밤은 두근거리는 통증처럼 - 함동수 시집...
신간도서 2093 2024-08-16
22
[디카시집] 창문은 열어두겠습니다 - 오영효 디카시집...
신간도서 1855 2024-08-16
21
[시조집] 나무와 나무 사이에 모르는 새가 있다 - 공화순 시조집...
신간도서 2079 2024-07-29
20
[시집] 얼룩진 유전자 - 나정욱 시집...
신간도서 2047 2024-07-29
19
[시집] 어떤 날은 말이 떠났다 - 윤옥란 시집...
신간도서 2061 2024-07-29
18
[시집] 물을 돌리다 - 시목문학회...
신간도서 1961 2024-07-29
17
[시집] 응축된 슬픔이 달다 - 김진수 시집...
신간도서 2058 2024-06-26
1 | 2
회원정보
닉네임 추천신간도서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추천신간도서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그대라는 오해를 사랑하였다 - ...
글 작성자 추천신간도서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