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코리아    SF    Boston    Washington D.C    Chicago    Atlanta    Canada
NewsLife InfoRealtySell & BuyJobsHealthCultureFood/TourIssueYellowPageShopping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찾기
Culture
USA CULTURE
USA 전시소식
USA 공연소식
USA 문화예술뉴스
KOREA 전시소식
USA 문화포커스뉴스
미국영화소식
공모/컨테스트 공지
문학뉴스
추천베스트 신간도서
인기신간도서
새 음악/음반/벨소리
중견초대작가 뉴욕갤러리
Fine Art
photography
Digital Art
전문가초대칼럼
[뉴욕코리아]<아침의 시>
[poem]English Poem
정다운 우리가곡
멀티미디어 영상작품
전문가칼럼/기고
전문가 칼럼
공연.전시행사모습
USA예술문화행사포토
USA 유명갤러리탐방
USA유명갤러리 탐방
티켓알아보기
티켓예매처 바로가기
 
 

   

   

    

회원정보
닉네임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받을아이디
제목
내용
(0/200바이트)
 
> Culture > USA CULTURE > USA 문화예술뉴스
USA 문화예술뉴스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설치 미술가 최제헌 전시BOJE in Washington DC
작성자: washingtonDC 조회: 7041 등록일: 2014-12-11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설치 미술가 최제헌 전시

BOJE in Washington DC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원장: 최병구)은 오는 12월 12일(금) ~ 2015년 1월 9일(금)까지 한국 설치미술가 최제헌 작가의 전시 공간을 3차원 캔버스로 활용하며 주변의 숨어있는 그림과 언어를 찾아 살아있는 입체적인 설치물을 창조하는‘BOJE in Washington DC’ 전시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 제목 Boje는 한국어로 [항해] 부이, 부표(浮慓) ; (어망의) 찌라는 듯을 내포하며 독일어로는 [ b o ː j ә ]  보이에, 영어로는 buoy  [búːi]라고 발음합니다. 최 작가는 주로 도시의 거리에서 볼 수 있는 산업, 건축용 재료들을 사용하였으며 이번 전시에는 특별히 한국에서 이사용 박스(단프라 박스라 불리는)의 원단으로 쓰이는 재질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얗고 투명한 외피의 조형물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여 작품 스스로와 주변을 밝히게 되는 오브제“보이에”는 로프와 전시 공간을 연결하며 마치 발견의 지점에 내어놓는 부표(boje)처럼 전시장 안으로 띄워집니다. 이러한 오브제“보이에”들이 주변과 조형적 관계를 형성해가며 2차원과 3차원을 넘나드는 하나의 회화인 “Floating Garden”을 만들어가는 설치작업입니다.


최 작가는 이번전시를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한국의 바다 가까운 도시, 강릉의 부표에 담았던 여름바닷물이 워싱턴으로 옮겨가며 겨울눈을 더하고 대도시의 조명 빛을 얹어서, ‘BOJE in Washington DC’가 새로운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합니다.

 

최 작가는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수학, 마이스터슐러(Maik & Dirk Loebbert 사사)를 취득했습니다. 2002년에서 2008년까지의 독일 체류기간 동안 유럽의 많은 기획전에 참가하였고, 독일 라우엔부르크와 뮌스터에서 개인전을 열었습니다. 2009년부터는 한국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한전아트센터와 송은아트갤러리 그리고 대안공간 충정각에서 개인전 등의 작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재 강릉에서 작업하고 지내며, 대안적 공간인 봉봉방앗간에서 아트 디렉터로 활동 중 입니다.

전시 개막 행사는 12월 12일(금) 오후 6시 30분 한국문화원에서 열리며, 작가의 작품 세계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 있을 예정입니다. 참가는 무료이나 사전 예약이 필요합니다. 주차 공간이 협소한 탓에 대중교통 이용 바랍니다. 문화원 전시장 운영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5시 30분까지 이며 점심시간 12시-1시30분에는 문을 닫습니다.

 

□ 문 의: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윤지영 jiyoungy@koreaembassy.org

□ 전시 포스터

 


 

----------------------------------------------------------------------------------------

 

 

작품론

 

(대안공간 충정각 이은화 큐레이터 글 중에서 발췌)

 

공간을 유희하다
최제헌 작가는 일상적 공간 혹은 풍경scene에서 조형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가지고 유희한다. 공간의 풍경에서 점이 보이면 그 점을 가지고 일종의 놀이를 하며 그만의 엉뚱한 시선으로 점을 확장시키고 존재감을 극대화 시킨다. 이러한 놀이는 마치 캔버스 위에서 점, 선, 면을 가지고 재배열하고 지우고 덧그리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공간속에서 이루어진다. 단지 이러한 요소들이 형체와 부피를 가지고 있어 손으로 들고 옮기고 떼어내고 하는 행위의 진폭이 커에서 지게 된다. 이러한 3차원적인 입체작업은 공간에서 찾아낸 순수 조형요소에서 출발하여 결국은 공간과 조형성 사이의 조화 그 자체에 더 주목하게 된다.

 

미술사가 이윤희의 글 중에서 발췌

 

그가 만들어낸 이상한 물건들은 인간이 풍경과 맺고 있는 관계를, 또한 인간이 예술과 맺고 있는 관계를 재조직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오브제들은 인간의 욕망을 자극시켜 소비될 수 있을 것 같은 작품(상품으로서의 작품) 형태를 띠고 있지 않고, 그와 같은 유의 작품들이 흔히 가지는 환경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지도 않으며, 그것이 놓인 풍경과 대립하고 있지도 않을뿐더러 풍경 모두를 포용하겠다는 장악력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 유용하지 않으면서도 유용한 것들 사이에서 유용한 체하거나, 그닥 장식적이지 않으면서도 장식물인 체하고 있는 그의 작품들은 그것이 놓여있는 풍경을 재구성하여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들의 의미를 생산해낸다. 조각으로 보자면 조각도 아닌 것 같고, 풍경으로 보자면 풍경도 아닌 것 같고, 건축적 인테리어인가 하고 보면 그것도 아닌 최제헌의 엉뚱한 오브제들은, 풍경이나 건축물 속에서 예술작품이 존재해 왔던 방식을 따라하며(예술작품인 척하며) 동시에 그 방식을 벗어나고 있다(예술작품이 아닌 척 하고 있다). 풍경과 비풍경, 조각과 비조각이 만들어내는 일상과 비일상의 어떤 것, 그것이 최제헌의 작품에서 누릴 수 있는 재미의 영역이다.

 

 

 ----------------------------------------------------------------------------------------------------------

 

 

작가 프로필

 

최 제 헌  CHOI, JE – HUN
siweal@hanmail.net  ( http://blog.daum.net/siweal )

 

최제헌은 동덕여자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 쿤스트아카데미에서 수학, 마이스터슐러(Maik & Dirk Loebbert 사사)를 취득했다. 2002년에서 2008년까지의 독일 체류기간 동안 유럽의 많은 기획전에 참가하였고, 독일 라우엔부르크와 뮌스터에서 개인전을 연 바 있다. 2009년부터는 한국에서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한전아트센터와 송은아트갤러리 그리고 대안공간 충정각에서 개인전 등의 작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변의 일상에서 발견하는 이야기와 재료들로 익숙한 듯 낯선 그림그리기를 숨은그림찾기 하듯 내어 놓고 있다. 현재 강릉에서 작업하고 지내며, 대안적 공간인 봉봉방앗간에서 아트 디렉터로 활동한다.

 

학력
2009    독일, 뮌스터 쿤스트아카데미 졸업 Kunstakademie Muenster 
          마이스터 슐러 취득(Maik & Dirk Loebbert 교수 사사)
2000    동덕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레지던시 참여 및 수상
2011   청주 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10   광주 시립미술관 양산동 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2009   광주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 레지던시 프로그램 단기입주작가
2008   독일, 예술가의 집_ 라우엔부르크/엘베 입주작가
         (Schleswig Holstein - Kuenstlerhaus Lauenburg / Elbe)
         독일, 예술가의 집 – 성 플뤼쇼우 입주작가
         (Mecklenburgisches Kuenstlerhaus _ Schloss Plueschow)

2011   서울문화재단 지원 선정- 개인전(2011.10)
2009   한전프라자갤러리 신진작가지원 선정 – 개인전(2009.3)
         송은문화재단 지원 선정- 개인전 (2010.11) / 송은미술대상 예선 입선
2005   DAAD 장학금(DAAD Stipendium fuer auslaendische Studierende der Kunstakademie Muenster)

 

전시 참여

 

「 개인전 」
2013.12   명주에, Boje  / 그린라이트 (강릉, 명주동네 / 봉봉방앗간)
2011.10   공사다망 (서울, 대안공간 충정각)
2011.12   보고, (청주,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2010.11   발견의 지점 (서울. 송은 갤러리)
2009 .3   세 번째 여행 그리고 풍경화 in Seoul  (서울. 한전프라자갤러리)
2008. 7   Die Boje –Der KunstWanderweg in Lauenburg/Elbe (독일. 라우엔부르크/엘베)
2007. 11  Balance  (독일. 뮌스터 Kunstakademie Muenster)


「 그룹전 」   ( 작업 제목 / 전시 제목 / 전시 장소 )
2014  바다 앞에 선 boje / 미술관 정원전 (강릉, 강릉시립미술관)
2013  seesaw / 아트링크 프로젝트 (서울, 금산갤러리/ 평창 알펜시아)
        꽃바람프로젝트/ 한뼘드로잉쑈( 청주, 대청호미술관)
2012  드로우/ 비물질적 기록(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라이트 라인/ 슬로우 아트(헤이리, 논밭갤러리)
2011  꽃이 필 때 / 수평적 차이_ 입주작가전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빨간 지붕에 멈춘 시선/ 기획자+아티스트전  (청주, Hive Space A)
        끊어진 선에서 시작된 드로잉 / 스페이스 오딧세이 ( 청주, 옛 연초제초장 동부창고 8동)      
2010  폭포가 있는 풍경/ 디저트_ 제 8회 광주 비엔날레기념 특별 기획전 (광주시립미술관)
        Blue Park / 21세기의 첫10년(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별별공원 / 별별씨의 커뮤니티아트(하늘정원_남부시장, 전주)
        정물이 있는 풍경 / 초록메세지전(우제길 미술관, 광주)
2009  Blue Hose / 제2회 국제현대미술 광주아트비전    (광주 비엔날레 1,2관)
        BLUE Park in Incheon Art Platform /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인천, 아트플랫폼)  
        성산 산수도 / Hi, Asia 2009 창원 아시아 미술제   (창원, 성산 아트홀)
       Display in Samcheong Gallery / 리얼리티의 세 경로    (서울, 삼청 갤러리)
       11월의 푸른공원 / 신진작가 발굴 2인전(서울, 예송미술관)
2008  Die schoene Baustelle / Rundgang   (독일, 뮌스터 Kunstakademie Muenster)
        Ankommen im Künstlerhaus Lauenburg/Elbe/Generation22 (독일,라우엔부르크/엘베 Kuenstlerhaus Lauenburg/ Elbe)
        Die zweite Reise / -ZOOM+  (독일, 도르트문트 Kuenstlerhaus Dortmund)
        Spiegelung / Neu Land(독일, 뒤셀도르프 Kultur bahnhof Eller)
        Paar / Tag der offenen Tuer(독일, 플뤼쇼우 Schloss Plueschow)
2007  Gruener Winkel / Rundgang(독일, 뮌스터 Kunstakademie Muenster)
        Je –Hun Choi / GROSSE NAMEN(독일, 뮌스터 Wewerka Pavillon)
HIER / Produkt Art – 4 (독일, 뮌스터 Erdgas Muenter)
        Geschenk fuer das Belgisches Viertel / Plan07(독일, 쾰른 city fiction in Koeln)
2006  Gruener Container / Rundgang(독일, 뮌스터 Kunstakademie Muenster)
        Reise nach Meran / base camp 2 - Junge Kunst aus Europa (이탈리아, 메란 Kunst Meran in Italia)
        Piazza Julina / Frutti per Tutti(이탈리아, 피렌체 Villa Romana in Florenz in Italia)
        Sauele / Wo bitte geht’s zum Oeffentlichen? (독일, 비스바덴 Wiesbadener Kunstsommer)
        Memory / Memory  (독일, 비스바덴 Kunstverein in Wiesbaden)
2005  Farbenspiel / Rundgang(독일, 뮌스터 Kunstakademie Muenster)
        Grosses Fenster / Abgefahren(독일, 링엔 Kunstverein Lingen Kunsthalle)
        Farbenspiel /Die hochgenaue Wissenschaft der Perlkettenbewohner (독일,쾰른 Moltkerei Werkstatt in Kloen)
2004  Untendurch /eine Skuptur der Klasse Maik und Dirk Loebbert(독일,뮌스터das Fest der Museen und Galerien)
        Bosporus /Freundschaftsspiel(터키,이스탄불Mimar Sinan Universitaet der Schoenen Kuenste in Istanbul)
2001  7회 신진작가 발언전(서울, 시립미술관)
        990원 Shop(서울, 동덕 아트 갤러리)
2000 New-Frontier 공모전 – 특선    (서울, 시립미술관)
        Comming soon…(서울, 동덕 아트 갤러리)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댓글 : 0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 등록일
273
[뉴스] AHL Foundation의 Studio Visit -김용재 이민정 작가
AHL 10044 2015-05-15
272
[뉴스] AHL , Foundation's Artist Studio Visit 김차섭 김명희 작가 4월 23일
AHL 8769 2015-04-16
271
[인터뷰] CCM 아티스트 송정미 카네기 홀 공연, 국악과 현대음악의 퓨전 선보인다.
usaculture 8887 2015-04-16
270
[뉴스] 2016년 K-Art Gallery 작가 신청 접수
KArt 7307 2015-04-01
269
[뉴스] 3월 K-Cinema: 나는 왕이로소이다 (I Am a King) 상영
워싱턴한국문화원 9305 2015-03-23
268
[뉴스] 2015 Asian-Pacific American Heritage Month Celebration Event Grant Program
koreanCulture 5886 2015-03-03
267
[뉴스] 사진 작가 김진홍 전시회 -3월 4일~3월 28일
kooart 9263 2015-03-02
266
[뉴스] “윤동주 70주기 추모공연”
llots 7985 2015-02-03
265
[인터뷰] 극단 “찾아가는 문화예술” 주최: 한국 전래 동화 뮤지컬-2월 14일
찾아가는문화예술 6388 2015-01-22
264
[뉴스] 퀸즈YWCA 26일부터 아트 & 컬쳐 프로그램 무료 강습
퀸즈YWCA 6682 2015-01-19
263
[뉴스] 브로드웨이뮤지컬,보컬,댄스,연기 트레이닝센터 맨하탄 내 오픈
bornstar 8321 2014-12-26
262
[뉴스] OPEN STAGE: Leodo, Paradise Lost by Norian Maro
kcsny 9435 2014-12-18
[뉴스]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설치 미술가 최제헌 전시BOJE in Washington DC
washingtonDC 7042 2014-12-11
260
[뉴스] 2015Yr AHL's Visual Art Competition , deadline: Dec.31.2014
AHL 6393 2014-12-08
259
[뉴스] 재미한국학교 NE지역협의회 어린이 동요합창제 개최
보스톤한국학교 5892 2014-12-06
258
[뉴스] 뉴욕 색소폰 오케스트라 2014 크리스마스 연주회
NYSAXOPHONE 7441 2014-11-26
257
[뉴스] 제7회 효신 유스오케스트라 정기연주회 11월 26일
hyosin 6286 2014-11-26
256
[뉴스] 2014 korean Arirang Culture Festival & Korean Annual Night=12/4
cunneticut 6914 2014-11-24
255
[뉴스] Exhibition of KCC Art Classes: Colored Stories 10/20~30
jenny 8099 2014-10-16
254
[뉴스] AHL's Public Lecture Series II -Oct.15.
AHL 7748 2014-10-06
253
[뉴스] [뉴저지] Gallery Bennett 신진 작가 및 큐레이터 공모|
kccgallery 7914 2014-09-19
252
[인터뷰] AHL Foundation Public Lecture Series 2014 In Collaboration with Korean Cultural Service NY
AHL 8398 2014-09-13
251
[뉴스] <국제외교관계 속에서 본 한국 미술과 문화> 2014년 알재단과 한국문화원 공동주최, 9월 17일 부터 강의
AHL 7485 2014-09-02
250
[뉴스] 김영림의 아리랑 공연-9월 6일 오후 7시 30분 퀸즈컬리지 골든 센터
artPPA 9188 2014-08-27
249
[뉴스] Lim, Seo Ryung: An Ageless Beauty
hyuncontem 8768 2014-08-19
248
[뉴스] Hyun-Contemporary’s Artist Promotion project of the Month
hyuncomtem 8836 2014-08-18
247
[뉴스] 제3회 한류 캠프 개최 8/11~8/15까지
Artculture 6475 2014-08-12
246
미 동부 숭실OB 남성합창단 정기 연주회
sungsil 8235 2014-07-26
245
인간문화제 하용부 선생과 함께하는 밀양북춤 워크샵!!
goodjaenge 7626 2014-07-22
244
제 4 회 KPAC 한국전통악기 강습회 (무료 입장!!)
kpac 7210 2014-07-10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회원정보
닉네임 washingtonDC (_admin_)
가입일 2008-07-23
등급 운영자 (1)
활동
포인트 : 0
게시물 작성수 : 0
댓글 작성수 : 0
쪽지보내기
닉네임 washingtonDC (_admin_)
제목
내용
(0/200바이트)
게시물 신고하기
게시판 성격에 맞지 않거나 불건전한 게시물을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 확인 후 해당글 삭제조치 및 해당 회원에게 불이익이 갈 수 있습니다.
허위신고시에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글 제목 공간에 그림을 그리는 설치 미술...
글 작성자 washingtonDC
신고이유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회원약관 | 고객지원센터 | 제휴 및 광고문의 | 광고안내   
 

 

Contact Us : 고객문의센터, Tel: 대표 201-674-5611

E-mail: newyorkkorea77@gmail.com, newyorkkorea@naver.com, 빠른카톡상담ID : newyorkkorea 

미국최대 대표포털 뉴욕코리아는 미국법률변호사고문 및 미국저작권법의 보호를 받고 있으며, 컨텐츠 및 기사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c) New York Korea, INC. News Media Group in USA. All Rights Reserved.